본문 바로가기
문화, 여행/역사탐방

세계 식민지 각국의 민족해방운동

by 블루청춘 2010. 4. 12.

[우리나라]

 

제1차 세계대전 직후 윌슨이 제창한 민족 자결주의에 힘입어 한국인들은 3.1운동을 전개하며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하였다. 이 운동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과 만주에서의 독립전쟁에 영향을 주었다.

 

[베트남]

 

프랑스의 식민지 지배를 받고 있던 베트남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전쟁에 협력하는 조건으로 독립을 약속받았다. 그러나 전쟁이 끝난 후에도 그 약속이 지켜지지 않았다. 베트남 민족 운동을 지도하던 호치민은 홍콩에서 인도차이나 공산당을 조직하여(1929) 민족 운동을 주도해 나갔다.

 

[인도네시아]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던 인도네시아에서는 이슬람 동맹이 중심이 된 민족 운동이 전개되었다. 수카르노는 반제국주의와 반식민지주의를 목표로 인도네시아 국민당을 결성하고(1927), 인도네시아의 여러 민족 단체들을 규합하여 민족 운동을 전개하였다.

 

[타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연합국으로 참전하여, 이전에 체결되었던 여러 불평등 조약을 개정할 수 있었다. 1932년에는 민주주의를 내세운 쳥년 장교들의 혁명으로 특권 귀족들이 몰락하고 입헌 군주 체제가 성립되었다.

 

[인도]

간디는 로래트 법(치안유지법)의 폐지와 완전자치를 주장하면서 사차그라하(진리의 장악)운동을 전개하였다. 이 운동은 지금까지 종교와 카스트, 인종으로 분열된 인도 사회를 하나로 통합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캘커타에서 열린 인도 국민 회의에서는 비폭력. 불복종주의를 내세우며 영국 상품 불매, 납세 거부 운동을 제창하였다.

 

한편, 간디의 투쟁 방식을 소극적이라고 생각한 사람들은 네루를 중심으로 인도 독립동맹을 결성하고(1928) 완전 독립을 요구하였다. 이들은 무력으로 영국의 식민지 지배에 저항하였으며 이에 따라 영국과의 충돌이 자주 일어났다. 이에 영국은 신인도 통치법을 만들어 각 주의 자치를 인정하였다.(1935)

 

[터키]

제1차 세계대전에서 패전국이 된 오스만 제국은 세브르 조약에 따라 비투르크인의 거주 지역을 모두 상실하고, 협상측에 재정 관리를 받게 되었다. 이에 케말파샤는 투르크 국민당을 결성하고, 앙카라에서 국민 회의를 소집하여 임시 정부를 수립하였다. 이후 술탄 제도를 폐지하고 서양 열강과 맺었던 불평등 조약을 개정하고 터키 공화국을 수립하였다.(1923) 케말파샤는 정교의 분리, 여성의 지위 향상, 근대적 교육 제도의 실시등 혁신 정치를 추진하여 터키의 근대화에 큰 진전을 가져왔다.

 

[이라크, 이란]

이라크는 반영 운동을 통해 독립을 달성하였고(1931), 이란에서는 레자 한이 반영 운동을 전개하여 페르시아의 카자르 왕조를 몰아내고 팔레비 왕조를 세워 와국과의 불평등 조약을 개정하였다.

 

[팔레스타인]

영국이 제1차 세계대전 중 터키와의 전쟁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하여 후세인-맥마흔 협정으로 아랍인의 독립을 약속하고 벨푸어 선언을 통하여 유대인 국가의 건설을 약속하였다.

 

[아프리카]

제1차 셰계 대전 중 이집트에서는 자글룰 파샤를 중심으로 한 와프트 당의 독립운동이 전개되었다. 그 결과, 영국은 군사 주둔권과 수에즈 운하의 관리권을 가진 채 이집트의 명목상 독립을 인정하엿다. (1923)

 사하라 사막 이북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후 독립을 위한 민족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특히 에스파냐 령 모로코가 프랑코 장군으로부터 자치를 약속받은 후, 튀니지와 알제리, 리비아에서도 독립운동이 일어났다.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는 제1차 세계대전 후 아프리카의 해방을 이념으로 한 범아프리카 회의를 열어 이 지역의 자치를 요구하였으며, 아프리카 인의 각성과 자치권 획득 운동을 전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