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93

091015 국립중앙 박물관 고고관(신석기,청동기,고구려, 백제,가야,신라) 국립중앙박물관에 다녀왔다. 어릴적중앙박물관 견학은 경복궁으로 갔었다. 조선총독부자리에 박물관이 있었기때문이었다. 이후 총독부건물을 헐어낸후 용산미군기지가 규모를 줄이며 용산에 어마어마한 중앙박물관이 이전해왔다. 요즘들어 공부하며 박물관이 새삼 재밌는 곳이란 것을 느끼고 있다. 유물을 통해 우리가 살지 않았던 과거 사람들의생활, 국가통치이념, 미술작품, 예술적경지까지 수수께끼같이 재밌는 문제를 풀며 여행을 하는 것 같다. 올해가 박물관 개관 100주년이라 상시 무료입장이라 가족, 친구, 연인끼리 데이트코스로도 좋을것 같다. 1. 백제관 백제 금동대향로 머리감는 사람 무령왕릉 유물 독널식 무덤 산수봉황벽돌 2. 고구려관 3. 신석기, 청동기 4. 신라 2009. 10. 15.
091011 가을 창덕궁 외대 청년동문회 소풍을 창덕궁으로 다녀왔다. 이불속에 누워 한발짝도 움직이기 싫은 일요일이었지만, 가을의 창덕궁을 한번 보고싶어 아침일찍 움직였다. 오랫만에 선후배들도 보고,, 창덕궁 정문인 돈화문과 넓은 월대 금천교를 지나 진선문에 이르는 길. 신문고가 있었다한다. 금천교 교각에 세겨진 동물, 도깨비 금천교앞의 오래된 느티나무 인정전과 넓은 조정 인정전에 들어가는 계단의 모습 어차고로 쓰였던 빈청자리.. 희정당 앞쪽의 모습. 임금의 침전인데 일제시대 복원을 하며 경복궁 강녕전을 뜯어왔다고 한다. 입구쪽에 차량이 들어올수 있도록 개조를 한 모습이다. 임금의 편전인 선정전으로 들어가는 선정문 선정전. 청기와이다. 왕비의 처소인 대조전. 이역시 경복궁의 교태전을 옮겨온 것이다. 대조전의 행각의 모습. 복도로.. 2009. 10. 12.
091006 서울성곽답사 혜화문~숙정문~창의문 서울성곽 1차 답사로 한성대입구쪽에서 올라가는 혜화문방면으로 북악산자락을 따라 숙정문~창의문으로 내려오는 코스로 내려왔다. 1392년 조선개국과 함께 태조 이성계는 한양으로 천도를 결정하고 서울성곽을 축성한다. 서울성곽은 북악산, 낙산, 남산, 인왕산을 잇는 총길이 18.2km의 성곽으로 평지는 토성, 산지는 산성으로 계획되었다. 이 방대하고 시급한 사업을 농한기에 완성하기 위하여 1396년 1,2월의 49일동안 전국에서 11만 8천명을 동원하여 성곽의 대부분을 완공하였고 가을 농한기에 다시 8만여명을 동원하여 동대문구역 일대를 완공하였다. 27년후 세종은 성곽을 전면 석성으로 대대적인 보수확장사업을 벌여 1월 겨울 농한기에 32만여명을 동원하여 증축하였다. 서울의 인구가 10만명정도였으니 서울인구의 3.. 2009. 10. 6.
090926 한예종 연희과 졸업공연,,, 대박! 나눔연대 풍물반 강사인 진규가 한예종 연희과 학생이다.. 후배들이 졸업공연을 한다고 해서 별생각없이 독서교실봉사를 끝내고 회원들과 공연을 보러갔다. 가면서도 '국내최고 꾼들을 키우는 한예종'이라 공연실력에 대한 기대와 '그래봤자 배우는 학생들인데 얼마나 잘하겠어..' 라는 생각이 있었다. 막상 공연에 들어서니 처음부터 끝까지 눈을 뗄수가 없었다. 정말 다들 실력있고 흡입력이 있었다. 대개 국악, 사물놀이공연이라고 하면 지루할거라 생각했는데, 김덕수 선생님의 제자들이라 그런지 정말 잘했다. 연희,, 악기연주, 춤, 판놀음, 끼 모두 기량을 어느정도 갖춘 친구들이라 공연자체의 퀄리티가 높았다. 프로그램은 1. 광대놀음. 2. 굿놀음(진도 씻김굿, 동해안 별신굿, 경기도 당굿) 3.인형놀음 4.탈놀음 5.판놀.. 2009. 9. 26.